2024. 12. 8.

Lossless Scaling(로스리스 스케일링, LS, 오리) 사용법

1. 개요

2가지 기능을 한다. 업스케일 / 프레임 생성

① 업스케일은 낮은 해상도를 이용하여 원하는 해상도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② 프레임 생성은 원본 프레임에 생성된 프레임을 끼워넣는 역할을 한다.

보통 요즘 게임은 업스케일 까지는 지원하는 추세지만 프레임 생성은 아직까지 지원하지 않는 게임이 많기 때문에 LS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유투브나 OTT 등 동영상 시청 시 LS로 프레임 생성을 해 60 이상의 프레임으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2. 사용법


프로그램 설치 후 업스케일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업스케일이 가능하다.

① 게임을 실행한다.

② LS 실행 후 업스케일 버튼을 누른다. 

③ 5초 이내에 창모드의 게임을 활성화한다. (Alt+Tab 으로 게임으로 되돌아간다)


각 설정은 다음과 같이 건드려주면 된다.

- 해상도: 건드릴 필요 없다.

- 업스케일 방식:

① 최근 게임의 경우 업스케일(DLSS, FSR 등)을 지원하는 게임이 많으므로 인게임의 설정을 사용하여 업스케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끄기' 선택)

② AI 옵션이나 업스케일 옵션이 없는데 해상도를 낮춰 프레임을 올리고 싶거나, 또는 원하는 해상도가 없어 강제로 해상도를 올려야 하는 경우 업스케일을 활성화한다.

③ 3D 게임의 경우 LS1, 2D 게임의 경우 Anime 4K를 이용(해당 옵션이 작성일 기준 가장 품질이 좋다고 알려짐)하여 업스케일을 실행한다.

- 프레임 생성:

① 게임 내에서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는 경우 인게임의 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현재 게임 내에서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프레임 생성을 지원한다 해도 DLSS 3 FG를 지원하지 않는 3000번대 이하 지포스 카드 또는 내장그래픽 카드는 LS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경우가 많다. (라데온은 지원하면 FSR, 미지원이면 AFMF가 있으니)

② 게임의 옵션에서 프레임 고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니터주사율/배율" (작성자의 경우 75Hz에 2배율 → 75/2= 38프레임) 을 계산하여 게임 프레임을 고정

②-1 게임 옵션에 프레임 고정이 없다면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3D 설정관리 - 최대 프레임 속도에서 설정 가능하다.


③ 옵션은 작성일 기준 웬만하면 LSFG 2.x 버전이 좋다고 한다. (수정: 버전 높은것을 쓰면 된다. 수정일 기준 3.0)

④ 모드는 X2(프레임 2배)가 안정적. X3, X4는 사용해본 적이 없다.

- 게임 프로필:


이 옵션은 특정 게임에 각각의 설정을 넣는 경우 만들어두면 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① 이름: 게임 이름을 알아볼 수 있으면 됨.

② 필터: 게임이 실행되는 파일을 넣으면 된다. 실행되는 파일은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 우클릭 - 파일 위치 열기로 확인 가능하다.


③ 자동 업스케일: 필터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몇 초 후 실행 시간이 지난 이후 업스케일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설정이 안되어 있으면 Ctrl + Alt + S 로 일일히 실행해야 한다.

- 기타: 업스케일 옆의 설정에서 "최소화 상태로 자동 실행", "작업 표시줄로 최소화" 설정을 해두면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3. 주의사항

1080p 기준 30프레임 + α 의 리소스 여유분을 확보해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 이하의 연산력으로 동작 시 없느니만 못한 결과(고스팅 등)가 발생한다.

목표 프레임이 고정이 안될 경우 해상도 저하, 그래픽 옵션 타협 등으로 연산력을 확보 후 시도하자.